본문 바로가기
무비포차

누구를 위한 사랑일까?: 안나 카레니나 해석 (Anna Karenina)

by 럭희7 2023. 8. 15.
728x90
반응형

안나 카레니나 (2012) Anna Karenina 포스터
안나 카레니나 (2012) Anna Karenina 포스터

 

"안나 카레니나 (Anna Karenina)"는 레오 톨스토이의 동명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입니다. 2012년 버전은 키이라 나이틀리와 주드 로우, 아론 존슨 등의 배우들이 주연을 맡았습니다.

 

19세기 러시아의 귀족 사회를 배경으로, 안나 카레니나는 러시아의 고위 귀족과 결혼한 아름다운 여성입니다. 그녀는 소설 속에서 높은 사회적 지위와 편안한 생활을 갖고 있지만, 그녀의 삶은 텅 비어있고 의미가 없다고 느껴집니다. 안나는 어느 날, 젊고 잘생긴 군인 알렉세이 브론스키와 만나게 되고, 그와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이 불륜 관계는 안나의 삶을 완전히 뒤흔들게 만듭니다. 그녀는 사회적 비판 속에서 자신의 사랑과 욕망을 추구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나 그녀의 선택은 그녀의 삶과 가족, 그리고 그녀를 둘러싼 사회 전체에게 파멸적인 결과를 가져옵니다.

 

이 영화는 사랑, 욕망, 그리고 사회의 기대와 규범 사이에서의 갈등을 미술적이고 감각적인 방식으로 표현합니다. 독특한 연출은 관객에게 고대 귀족 사회를 세세하게 묘사하며, 키이라 나이틀리의 연기는 안나 카레니나라는 인물의 복잡한 감정 세계를 선명하게 그려냅니다.

 

"안나 카레니나"는 사랑과 욕망, 그리고 그것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깊은 영향에 대해 관객에게 깊은 사색을 강요하는 영화입니다.

 

영화 안나 카레니나에서 찾아본 인간의 갈등과 선택

사랑의 본질과 그에 따른 패러독스

 

영화에서 안나와 브론스키의 관계는 사랑의 본질과 그것이 가져오는 파멸적인 결과에 대한 깊은 논의를 제공합니다. 그들의 사랑은 순수하고 진정한 것이지만, 그것이 불륜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면서 그들의 주변 세계에 큰 혼란을 일으킵니다.

 

이러한 사랑의 본질에 대한 고찰은 Søren Kierkegaard의 철학에서도 발견됩니다. 그는 "Either/Or"에서 에스테틱한 사랑과 윤리적 사랑 사이의 차이를 이야기했습니다. 에스테틱한 사랑은 순간적이고 감각적인 것에 중점을 둔다면, 윤리적 사랑은 책임과 헌신을 바탕으로 합니다. 안나와 브론스키의 관계는 Kierkegaard의 에스테틱한 사랑의 예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그들의 관계가 주변 사람들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해 그 복잡성과 파멸성을 탐구하게 됩니다.

인간의 욕망과 사회의 규제

 

안나 카레니나는 그녀의 욕망을 따라 행동하는 동안 사회적 규제와 도덕적 판단에 직면합니다. 그녀는 그녀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과 사회적 규범에 따라 행동하는 것 사이에서 고민합니다.

 

이러한 갈등은 Michel Foucault의 권력과 지식에 관한 연구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Foucault는 권력이 어떻게 지식을 생성하고, 이 지식이 어떻게 개인과 사회에 규제를 가하는지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안나 카레니나"에서, 안나의 개인적인 선택은 사회적 규제와 직결되며, 그녀는 사회적 규제와 도덕적 판단을 피할 수 없게 됩니다.

진정한 자아 vs. 사회적 가면

 

안나의 삶은 외부 세계에 보여지는 외부의 모습과 그녀의 내면의 감정 사이의 갈등으로 표현됩니다. 그녀는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위해 가면을 쓴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그녀의 진정한 자아와 대조를 이룹니다.

 

이러한 주제는 Carl Jung의 심리학에도 나타납니다. Jung은 인간의 성격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었는데, 그 중 "Persona"는 사회적 가면, 그리고 "Shadow"는 숨겨진 부분 또는 부정적인 부분을 나타냅니다. "안나 카레니나"에서, 안나는 그녀의 PersonaShadow 사이에서 갈등을 겪게 됩니다. 사회적 기대와 그녀의 진정한 욕망 사이의 괴리는 그녀를 내면적인 위기로 몰아넣게 됩니다.

운명 vs. 자유 의지

 

영화 내에서 안나는 그녀의 욕망과 선택이 운명에 의해 주어진 것인지, 아니면 그녀의 자유 의지에 의한 것인지에 대해 고민합니다. 안나의 불륜은 그녀의 운명인가, 아니면 그녀의 자유로운 선택에 의한 결과인가?

 

이러한 고민은 Jean-Paul Sartre의 존재주의 철학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Sartre"Being and Nothingness"에서 운명과 자유 의지 사이의 관계를 탐구했습니다. 그는 인간이 그의 존재를 선택하고, 그 선택에 의해 책임을 지어야 한다는 점에서, 우리 모두가 우리의 운명을 선택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안나 카레니나"에서, 안나의 선택과 그에 따른 결과는 Sartre의 철학적 접근법을 통해 우리가 우리의 삶과 우리의 선택에 대한 책임을 어떻게 지는지에 대해 깊게 생각하게 합니다.

 

안나 카레니나 대사 분석: 영화속 심리학

728x90
"All the variety, charm, and beauty of life are made up of light and shade."
브론스키: "생명의 다양성, 매력, 그리고 아름다움은 모두 빛과 그림자로 이루어져 있다."

 

브론스키가 안나와의 관계와 사회적 반발에 관한 그의 사고방식과 태도를 표현할 때 나오는 대사입니다. 이 대사는 브론스키의 현실에 대한 깊은 인식을 보여줍니다. 그는 삶의 아름다움이 단순한 행복뿐만 아니라 도전과 고통에서도 온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I'd rather be wrong with you than right with anyone else."
카레닌: "다른 사람과 옳다고 느끼기보다는 너와 함께 틀리기를 원해."

 

카레닌이 안나와의 복잡한 관계에서 그녀에게 자신의 사랑과 애정을 표현하려고 할 때 등장합니다. 카레닌은 안나에게 진정한 사랑을 느끼고 있지만, 그녀의 불륜과 그로 인한 사회적 비난 사이에서 갈등을 느낍니다. 그의 이 대사는 그의 사랑의 깊이와 그것을 표현하는 데의 어려움을 반영합니다.

"If you look for perfection, you'll never be content."
레빈: "완벽을 찾는다면, 너는 결코 만족하지 못할 거야."

 

레빈은 자신의 삶과 사랑에 대한 자신의 불안과 불만족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이 대사를 통해 그의 철학을 표현합니다. 레빈은 완벽주의의 함정을 깨닫고, 삶의 소소한 순간들에서 행복을 찾으려는 자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대사는 "완벽주의(Perfectionism)"의 부정적인 영향과 그것이 개인의 행복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완벽주의는 높은 기대와 자기 비판을 수반하며, 이는 스트레스와 불만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레빈은 완벽을 추구하는 대신 현실을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 행복을 찾는 방법을 제시하며, 이는 Aaron Beck"인지 재평가(Cognitive Reappraisal)" 기법과 유사한 접근을 보여줍니다.

"I'm not afraid of anything. Except being bored."
안나 카레니나: "난 무엇도 두려워하지 않아. 지루함만 제외하고 말이야."

 

안나가 그녀의 도시 생활의 반복되는 일상에 대해 불만을 표현하면서 나오는 대사입니다. 이 대사는 그녀의 활기찬 성격과 모험심을 보여주며, 기존의 생활과 그녀의 욕구 사이의 갈등을 반영합니다. 안나는 자신의 감정에 굉장히 진실하며, 지루함과의 싸움에서 그녀의 내면의 갈망을 보여줍니다. 그녀의 이런 태도는 그녀가 브론스키와의 관계를 이어가게 되는 동기 중 하나가 됩니다.

 

안나카레리나 예고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