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비포차

오만과 편견: 당신이 아직 몰랐던 그 모든 것 (Pride & Prejudice)

by 럭희7 2023. 8. 13.
728x90
반응형

오만과 편견 (2005) Pride & Prejudice 포스터
오만과 편견 (2005) Pride & Prejudice 포스터

 

"오만과 편견"1813년에 발표된 제인 오스틴의 동명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입니다. 키이라 나이틀리와 매튜 맥퍼디언이 주연을 맡았습니다.

 

영화는 19세기 초기 영국 러셔셔의 한 중산층 가족인 베넷 가족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베넷 부인은 그녀의 다섯 딸 중 한 명이라도 부유한 배우자를 얻기를 바라며 끊임없이 매칭을 시도합니다. 그러나 가장 큰 딸 엘리자베스는 그녀의 독립적인 성격과 강한 의지로 인해 자신의 마음에 따라 선택을 하려고 합니다.

 

엘리자베스와 그녀의 가족은 다치리의 부유한 신사인 미스터 다시와 그의 친구인 미스터 빙리를 만나게 됩니다. 미스터 빙리는 엘리자베스의 둘째 누나인 제인에게 빠지게 되지만, 미스터 다시는 처음에는 엘리자베스에게 오만하고 냉담하게 대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는 그녀의 지성과 위트에 매료되기 시작합니다.

 

이 영화는 사회적 계급, 자존심, 편견, 사랑, 결혼 등 여러 가지 주제를 다루면서 두 주인공, 엘리자베스와 다시 사이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그 시대의 사회적 풍속과 가치를 잘 반영하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을 가진 작품으로 여러 상을 받았으며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오만과 편견: 당신이 아직 몰랐던 그 모든 것

사회적 계급과 결혼의 기능

 

영화 "오만과 편견"19세기 초기 영국의 사회 구조와 결혼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그 시대의 여성들은 결혼을 통해 사회적 지위와 재산을 확보하는 주요한 수단으로 간주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기대치로 인해 베넷 부인은 그녀의 딸들에게 부유한 배우자를 찾는 것을 강조합니다. 그러나 엘리자베스는 이러한 사회적 기대와는 다르게 사랑과 호감을 기반으로 결혼을 선택하려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프랑스의 사회학자 Pierre Bourdieu가 제시한 "사회적 자본" 이론이 생각납니다. Bourdieu는 사람들이 가진 교육, 연결망, 사회적 인지도 등의 비물질적 자원을 "사회적 자본"이라고 했으며, 이를 통해 개인이 사회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과 권력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오만과 편견"에서의 결혼은 사회적 자본의 확보와 관련이 있습니다.

실제와 표면, 진실과 거짓 간의 구분

 

영화 속 다양한 캐릭터들은 표면적인 모습과 내면적인 성격, 동기가 다르게 표현됩니다. 예를 들어, 미스터 위컴은 표면적으로는 매력적이고 친절한 청년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숨겨진 음모와 악의적인 동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주제는 독일 철학자 Friedrich Nietzsche의 진실에 대한 관점과 관련이 있습니다. Nietzsche"진실"이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각 개인의 해석과 가치 판단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영화 "오만과 편견"은 각 캐릭터의 표면과 실제, 진실과 거짓 간의 관계를 통해 이러한 Nietzsche의 주장을 시각화하고 있습니다.

연애와 감정의 발전 과정

 

영화 "오만과 편견"에서는 엘리자베스와 다시 사이의 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연애와 감정의 발전 과정을 연출합니다. 두 사람의 관계는 오해와 편견으로 시작되었으나, 서로에 대한 진실한 이해와 존중을 통해 깊은 사랑으로 발전해 갑니다.

 

이 주제는 심리학자 Erik Erikson의 신뢰 대 불신 이론에 연결될 수 있습니다. Erikson은 초기 유아기에 신뢰감을 형성하는 것이 후속 발달 단계에서의 관계 형성에 중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엘리자베스와 다시의 관계는 초기 불신에서 시작하여 서로의 진심을 인지하고 신뢰감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독립성

 

19세기 영국 사회에서 여성은 전통적으로 가정 내에서의 역할과 결혼을 통한 사회적 성공을 추구하도록 교육받았습니다. 그러나 엘리자베스는 이러한 전통적인 역할에 도전하며 자신의 독립성과 지적 호기심을 추구합니다.

 

이러한 여성의 독립성 추구는 20세기 여성운동과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Simone de Beauvoir"이성적인 성(Le Deuxième Sexe)"이 떠오릅니다. Beauvoir는 여성이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타자'로 간주되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독립성과 정체성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엘리자베스의 행동과 선택은 Beauvoir의 이론을 실제로 반영하는 예로 볼 수 있습니다.

 

오만과 편견 대사로 본 주인공들의 심리 변화

728x90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에게 언제나 옳은 판단을 내린다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아시나요?" - 엘리자베스 베넷 (Elizabeth Bennet)

 

엘리자베스와 미스터 다시가 처음에 서로에게 좋지 않은 인상을 받은 후 나오는 대사입니다. 여기서 엘리자베스는 다시에게 그녀가 그를 얼마나 잘못 판단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 대사는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의 한 예로 볼 수 있습니다. 확증 편향이란 사람들이 자신의 믿음이나 인상을 확인하는 정보를 찾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이런 편향 때문에 엘리자베스는 처음에 미스터 다시를 잘못 판단하게 되었습니다. 첫 인상이나 미리 형성된 편견은 개인의 정보 처리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새로운 정보나 상황에 대한 개방성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내 마음을 표현하는 데 능숙하지 않아요. 나쁜 습관이라고 생각할 수 있죠, 하지만 나의 감정은 변하지 않아요." - 미스터 다시 (Mr. Darcy)

 

미스터 다시가 엘리자베스에게 그녀를 사랑한다는 감정을 표현하려고 할 때 나오는 대사입니다. 그는 자신의 감정 표현에 능숙하지 않다고 인정하지만, 그의 사랑의 정도나 진심은 변하지 않았음을 강조합니다. 감정 표현의 어려움과 내면의 진심 간의 괴리를 보여줍니다. 다시는 사회적 위치나 교육, 가문의 전통 등으로 인해 감정 표현에 솔직하게 접근하는 것이 어렵지만, 그의 진심은 확고합니다.

 

이 대사는 '애착 스타일(Attachment Style)'의 한 유형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미스터 다시의 감정 표현 방식은 '회피적 애착 스타일(Avoidant Attachment Style)'에 가깝습니다. 회피적 애착 스타일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다른 사람과 깊게 연결되는 것을 피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그들도 다른 사람들처럼 진정한 애정과 사랑을 원하고, 그러한 감정을 느끼기도 합니다.

"모든 사람이 결혼의 이유를 사랑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닙니다." - 샬럿 루카스 (Charlotte Lucas)

 

샬럿이 엘리자베스에게 콜린스 목사와의 결혼 제안을 수락한 이유를 설명할 때의 대사입니다. 샬럿은 사랑보다는 사회적 안정과 경제적 보장을 결혼의 주된 목적으로 봅니다.

이 대사는 19세기 영국 사회의 결혼에 대한 시각을 반영하고 있으며, 사랑이 아닌 이유로 결혼을 선택하는 사람들의 결정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샬럿의 결정은 '기능적 선택(Functional Choice)'의 한 예입니다. 사람들은 때로는 냉철하게, 논리적으로, 혹은 현실적인 이유로 선택을 내립니다. 그녀의 결혼 선택은 '마즐로의 욕구 계층(Maslow's Hierarchy of Needs)'에 따르면 안전성 욕구와 경제적 안정감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선택은 그녀가 그 시대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 속에서 자신과 가족의 미래를 장담하기 위한 합리적 결정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당신은 마지막으로 남은 꽃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아닙니다." - 레이디 캐서린 드 버그 (Lady Catherine de Bourgh)

 

레이디 캐서린 드 버그가 엘리자베스와 미스터 다시의 관계를 알게 된 후 엘리자베스에게 경고하는 장면에서 나옵니다. 그녀는 엘리자베스를 미혹하며 그녀가 다시와의 결혼을 포기하게 하려고 합니다. 레이디 캐서린의 권력 의식과 가문의 명예에 대한 그녀의 강한 집착을 보여줍니다. 또한, 엘리자베스를 꽃에 비유함으로써 그녀를 경시하고 소외시키려는 의도를 나타냅니다.

 

레이디 캐서린의 이러한 반응은 '고정적 사고방식(Fixed Mindset)'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고정적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은 성격이나 능력, 가치 등이 변하지 않는다고 믿으며, 변화나 새로운 가능성을 수용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레이디 캐서린은 가문의 명예와 전통을 지키기 위해 미스터 다시와 엘리자베스의 관계를 반대하며, 그녀의 고정적 사고방식이 이러한 반응을 초래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