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비포차

피할 수 없는 공포의 집, 영화 '맨 인 더 다크'의 숨겨진 해석 (Don't Breathe)

by 럭희7 2023. 6. 21.
728x90
반응형
맨 인 더 다크 (2016) Don't Breathe 포스터
맨 인 더 다크 (2016) Don't Breathe 포스터

 
"맨 인 더 다크 (Don't Breathe)"는 2016년에 개봉한 미국의 스릴러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페데 알바레즈 감독의 두 번째 장편 작품으로, 그의 재능을 더욱 확실히 입증하는 데 성공한 작품입니다.
 
영화의 주요 인물들은 세 명의 젊은 친구들인 알렉스, 락키, 그리고 머니입니다. 이들은 빈집털이를 통해 돈을 벌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들의 타깃은 노인의 집입니다. 이 노인은 전쟁에서 다친 뒤로 실명하였으나, 그가 고액의 보상금을 집 안에 숨겨놓았다는 소문을 듣게 됩니다.
 
그들이 노인의 집에 침입하는 순간, 서사가 급전환하게 되며 두려움과 공포, 그리고 반전이 가득한 숨막히는 스토리가 펼쳐집니다. 약자인 줄 알았던 노인의 집이 공포의 무대가 되고, 젊은 친구들은 갇히게 됩니다. 무서운 진실이 드러나면서 그들은 자신들의 삶을 구하기 위해 절실하게 투쟁해야 합니다.
 
"맨 인 더 다크"는 눈부시게 밝은 주간에서 시작되어 어둠 속으로 급격히 내려갑니다. 이는 마치 우리가 불안과 공포를 느끼며 깊은 어둠 속으로 빠져드는 듯한 감각을 줍니다. 이 영화는 전통적인 스릴러 요소를 넘어서, 우리의 심리에 깊게 파고드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맨 인 더 다크"는 우리에게 공포는 외부 세계뿐만 아니라 우리 내면에서도 찾아올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어둠에서 울리는 이야기, '맨 인 더 다크' 해석

비정상적인 도시화와 빈곤층의 실직 문제

 
"맨 인 더 다크"의 주인공들은 목표 달성을 위해 이익을 추구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일원입니다. 영화에서 이들은 미시간 주의 경제적 약점을 이용하려고 합니다. 이것은 도시화의 어두운 면을 보여주며, 빈곤과 실직의 가혹한 현실을 부각시킵니다. 사회학자 로버트 페티그루 (Robert Putnam)의 연구에 따르면, 빈곤층은 사회적 동질성을 강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도시에서 빈곤층의 연결망을 더욱 견고하게 만듭니다. 이런 경향은 영화에서 뚜렷하게 보여지며, 주인공들의 비윤리적 행동을 해명하는 하나의 이야기를 연출합니다.

암흑의 내면과 정신 분석학

 
노인의 집이 실제로는 불행하고 비참한 비밀을 감추고 있는 곳이라는 사실은,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학에 나타나는 개념을 연상케 합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을 아이스버그에 비유하였습니다. 우리가 볼 수 있는 부분은 매우 작은 부분일 뿐, 실제로는 우리의 내면의 깊은 곳에 많은 것이 숨겨져 있다고 했습니다. 이 비밀스러운 공간은 우리의 무의식을 대표하며, 때로는 우리 자신조차 모르는 욕구와 두려움, 충동을 감추고 있습니다. 이 노인의 집이 이러한 무의식을 대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노인의 집은 겉보기엔 조용하고 평화로워 보이지만, 내부는 사실 끔찍한 비밀을 감추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 내면의 암흑을 상징하며, 이러한 암흑은 때로 우리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공포

 
"맨 인 더 다크"는 눈에 보이지 않는 공포를 묘사합니다. 이는 노인의 실명이 그를 더욱 위험하고 예측 불가능하게 만드는데, 이는 공포의 원리를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인간은 알 수 없거나, 예측할 수 없는 것에 대해 두려워합니다. 이는 환경 심리학자 데이비드 시오크(David T. Siock)의 연구를 떠올리게 합니다. 그는 인간이 알 수 없는 것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는 것은 진화적으로 생존에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노인의 집은 알 수 없고 예측할 수 없는 위험을 상징하며, 이로 인해 관객은 더욱 긴장감을 느끼게 됩니다.
 

영화 '맨 인 더 다크'의 대사로 보는 인간의 심리

728x90
"감옥은 암흑이었다, 나는 그곳에서 태어났다." - 노인

 
이 대사는 노인이 자신의 과거를 이야기할 때 나옵니다. 이것은 그가 겪은 고통과 사회적 고립감을 대변하며, 그가 어둠에서 살아남은 강인한 존재임을 보여줍니다. 이 대사를 통해, 그의 집이 어둠으로 가득 찬, 사람들이 피해 가는 곳이자 그의 마음의 상태를 반영하는 공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의 집은 그의 "감옥"이자 그의 세상 그 자체인 것입니다. 이는 융의 "그림자" 개념을 떠올리게 합니다. 그림자는 개인의 의식하지 못한 부분을 나타내는데, 이 부분에는 인간이 부정하거나 인정하지 않는 모든 성질이 포함됩니다. 이 대사는 노인이 그의 그림자와 함께 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의 집은 그의 그림자, 즉 그의 의식하지 못한 부분을 대변하는 공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 노인

 
이 대사는 노인이 자신의 과거를 회고하며, 신이나 세상에 대한 믿음을 잃었음을 표현하는 장면에서 나옵니다. 이는 그의 고통스러운 경험과 그로 인해 변해버린 세상관을 보여줍니다. 노인은 삶의 불공정함을 인정하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세상을 다루려고 시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의 '신은 죽었다' 개념을 연상시킵니다. 니체는 전통적인 도덕과 신의 개념이 사회에서 점차 손실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관점에서, 노인의 이 대사는 그가 신의 존재와 전통적인 도덕을 부정하고, 자신만의 세상관을 구축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신은 나를 볼 수 있지만, 나는 신을 볼 수 없다." - 노인

 
이 대사는 영화의 후반부에 등장합니다. 노인이 그의 실명 상태와 고립된 삶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품게 된 신학적인 의문을 보여줍니다. 이 대사는 노인의 외로움과 절망, 그리고 그의 신에 대한 불신을 보여줍니다. 노인의 이 대사를 통해, 우리는 그가 겪은 심각한 상실감과 그로 인해 생긴 그의 절망적인 상태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의 말은 사실 우리 모두가 느낄 수 있는 공통된 두려움을 대변합니다. 그것은 보이지 않는 것, 알 수 없는 것에 대한 두려움입니다.
 

맨인더다크 예고편

맨 인 더 다크 | 넷플릭스

현찰을 쌓아둔 독거노인에다가 시각장애인. 완전 거저먹기잖아? 최고의 사냥감을 찾은 십대 빈집털이 3인조. 하지만 노인이 깨어나고, 어둠이 깔린 집 안에서 모든 것이 반전된다. 자, 이제 누가

www.netflix.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