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비포차

잔혹동화가 현실이 된다면? 영화 '오펀: 천사의 비밀' 해석(Orphan)

by 럭희7 2023. 7. 25.
728x90
반응형

오펀: 천사의 비밀 (2009) Orphan 포스터
오펀: 천사의 비밀 (2009) Orphan 포스터

 

"오펀: 천사의 비밀"2009년에 개봉된 심리 스릴러 영화입니다. Jaume Collet-Serra가 감독을 맡았으며, 주연 배우로는 Vera Farmiga, Peter Sarsgaard, Isabelle Fuhrman이 출연했습니다.

 

케이트 (Vera Farmiga)와 존 콜맨 (Peter Sarsgaard)은 불행한 사고로 인해 아이를 잃은 후, 가족의 상처를 치유하고자 입양을 결정합니다. 그들은 사랑스러운, 독특하게도 예술적인 재능이 있는 9세 소녀 에스터를 만나게 되고, 그녀를 자신들의 집으로 데려옵니다. 케이트는 에스터의 이중적인 행동에 대해 의심을 갖게 되지만, 존은 그것을 단지 적응 과정일 뿐이라고 믿습니다.

 

에스터의 이상한 행동과 사건들이 점점 더 심각해지면서, 케이트는 진실을 찾아내려는 데 고통받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영화는 스릴과 공포, 그리고 충격적인 반전을 선사합니다.

 

이 영화는 자식을 잃은 부부가 입양을 통해 그 상처를 치유하려는 노력, 그리고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가족 간의 힘든 감정과 동시에 독특한 공포 요소를 통해 관객을 몰입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영화 오펀: 천사의 비밀'의 심리학적 해석

가족구조의 변화

 

"오펀: 천사의 비밀"은" 입양과 가족구조의 변화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제공합니다. 부부가 자신들의 아이를 잃은 후, 그들의 가족에 다시 새로운 생명을 초대하는 것은 그 자체로 희망을 상징하는 일입니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는 그 행동이 불안과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며, 결국은 공포로 이어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영화에서 케이트와 존은 자신들의 아기를 잃은 트라우마로부터 회복하려는 강렬한 욕망 속에서 에스터를 입양하게 되지만, 이러한 결정이 가족의 통합을 가져오기보다는 분열을 가져오게 됩니다.

소년성과 사회적 기대

 

영화는 또한 소년성과 사회적 기대에 대한 관점을 제공합니다. 에스터는 겉으로 보기에는 매우 청순하고 순진한 아이지만, 그녀의 실제 행동은 그것과 전혀 다릅니다. 이는 사회가 소년성과 소녀성에 대해 갖고 있는 스테레오타입에 대한 도전입니다.

 

이러한 관점은 여성주의 심리학자 Carol Gilligan의 이론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그녀는 "In a Different Voice"라는 책에서 여성의 도덕적 행동에 대한 이해가 전통적인 남성 중심적 접근법으로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여성과 소녀의 행동이 사회적 기대와는 상반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영화에서 에스터의 행동은 Gilligan의 이론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에스터는 사회적 기대와는 상반되는 행동을 보여주며, 그로 인해 그녀 주변의 사람들이 그녀를 이해하거나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이는 이 영화가 소년성과 사회적 기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진실과 거짓의 철학

 

"오펀: 천사의 비밀"은" 진실과 거짓의 철학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제기합니다. 에스터는 계속해서 거짓을 말하며, 그로 인해 가족들이 그녀의 진정한 정체성을 알지 못하게 만듭니다. 그녀는 자신이 누구인지, 어디서 왔는지에 대한 진실을 은폐하게 됩니다.

 

이러한 주제는 철학자 Friedrich Nietzsche의 진실에 대한 관점과 관련이 있습니다. Nietzsche"진실"이란 개념을 비판하며, 그는 진실이라는 것이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것을 믿게 만드는 일련의 해석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영화에서 에스터는 그녀의 거짓을 "진실"로 만들어 가족들을 속입니다. 이는 Nietzsche의 진실에 대한 이론을 반영하는데, 그는 진실이 개인의 해석과 경험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주장했습니다. 이는 영화가 진실과 거짓에 대한 복잡한 이야기를 연출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영화 '오펀: 천사의 비밀' 속 대사 분석

728x90
"나는 다른 아이들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아. 그래서 나를 원하지 않는 거야?" (에스터)

 

이 장면은 에스터의 외로움과 그녀가 새로운 가정에서 받아들여지려는 강렬한 욕망을 보여주는 순간입니다. 그러나 이 대사는 에스터의 실제 동기에 대한 첫 번째 힌트일 수도 있습니다. 그녀는 그녀의 차별화가 그녀의 은밀한 계획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에스터는 자신의 '다름'을 자기 자신에 대한 두려움과 인정받고자 하는 욕망 사이의 도구로 사용합니다. 이것은 우리가 어떻게 우리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해하는지, 그리고 그 차이가 어떻게 우리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질문을 합니다.

"아무도 날 이해하지 못해. 하지만 넌 달라, 난 날 이해할 수 있어." (에스터)

 

이 대사는 에스터가 Max와의 친밀한 관계를 통해 그녀가 자신을 이해하고 심지어는 그녀의 비밀을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표현하는 장면에서 나옵니다. 이 장면은 에스터의 외로움과 그녀의 속임수에 대한 강렬한 욕망을 보여주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이 대사를 통해 우리는 '이해와 공감의 복잡성'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에스터는 그녀의 독특한 경험과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사람을 찾는다는 욕망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그녀가 Max에게 그녀의 진정한 의도를 숨기는 동시에 그녀의 동정심을 이용하려는 계획의 일부일 뿐입니다. 이것은 이해와 공감이 어떻게 우리의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동시에 그것들이 어떻게 악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합니다.

 

"나는 솔직한 아이에요, 엄마가 항상 그러라고 가르쳐 주셨잖아요." (에스터)

 

이 대사는 에스터가 Kate에게 자신의 행동에 대해 변명하면서 하는 말입니다. 에스터의 '솔직함'은 그녀가 KateJohn을 착각하게 만드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녀는 그들에게 아이 같은 순진함과 성숙함, 그리고 그 사이의 모호성을 가지고 놀면서 그들을 속입니다.

 

에스터는 그녀의 '솔직함'을 통해 자신의 거짓말에 진실성을 부여하려고 합니다. 이것은 진실과 거짓이 어떻게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또한 우리가 믿음의 가치를 어떻게 판단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오펀 예고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