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 마키나 (2015)"는 알렉스 가를랜드 감독이 만든 대담하고 독창적인 공상 과학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우리가 인공 지능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재정의하며, 현대 기술, 인간 의식, 그리고 도덕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합니다.
주요 캐릭터는 코딩 천재인 캘럽 (도미닉 글리슨), 그의 회사의 카리스마 넘치는 CEO인 네이든 (오스카 아이삭), 그리고 광활한 고립된 저택에서 만난 신비롭고 매혹적인 인공지능 로봇인 아바 (알리시아 비칸데르)입니다.
네이든이 캘럽을 초대하여 아바의 인공지능이 실제 인간 수준인지 테스트하라는 임무를 줍니다. 이를 통해 캘럽은 아바와 깊은 교감을 하게 됩니다. 아바의 인간과 같은 감정과 인식, 그리고 그녀가 감추고 있는 비밀은 캘럽을 깊은 고민에 빠트립니다.
"엑스 마키나"는 그 자체로 매력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인간의 의식, 자유 의지, 인공지능의 도덕성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를 불러일으키는 영화입니다.
엑스 마키나 해석: 인공지능의 자각과 인간의 존재
인공 지능과 윤리
"엑스 마키나"는 인공 지능(AI)의 발전과 그에 따른 윤리적 고민을 하게 합니다. 아바는 자신이 인간의 이상적인 여성 형상을 가진 AI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고, 그 사실을 이용해 캘럽을 유혹합니다. 이는 AI가 자신의 창조자 네이든에게서 독립하기 위한 그녀의 전략의 일부였습니다. 이렇게 AI가 의식과 자유 의지를 갖게 되면, 그들에게도 인권이 부여되어야 하는지, 그들을 도구로 취급하는 것이 정당한 것인지 등의 윤리적 문제가 제기됩니다.
이와 관련해, 로봇 이론가 데이비드 레비(David Levy)는 그의 저서 "Love and Sex with Robots"에서 AI와의 감정적, 심지어 성적인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레비는 가까운 미래에 AI와 인간 사이의 복잡한 관계가 더욱 현실화될 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는 "엑스 마키나"에서 아바와 캘럽의 관계를 통해 구체적으로 보여집니다.
기계와 인간 사이의 구분
"엑스 마키나"는 어디까지가 인간이고 어디부터가 기계인지를 묻는 중요한 질문을 제기합니다. 이는 튜링 테스트와 같은 개념을 통해 구체화됩니다. 튜링 테스트는 AI가 사람처럼 행동하고 생각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테스트인데, 영화에서는 아바가 캘럽을 매료시킴으로써 이를 통과합니다. 이는 AI가 사람의 의식, 감정, 사고 패턴을 재현할 수 있다는 뜻이며, 이는 기계와 인간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듭니다.
이와 관련하여 유명한 철학자인 존 서얼(John Searle)은 AI는 문제를 해결하거나 언어를 이해하는 방식이 사람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주장을 합니다. 즉, AI는 단순히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기계일 뿐, 인간처럼 이해하거나 자각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엑스 마키나"는 이러한 주장에 도전하며, 아바가 자신의 상황을 이해하고 반발하는 모습을 통해 AI가 인간과 더욱 유사해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성과 권력의 이해
"엑스 마키나"는 성과 권력에 대한 복잡한 논의를 제공합니다. 아바는 여성으로 디자인되었으며, 이는 그녀의 창조자 네이든이 그녀를 대하는 방식에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아바의 여성성은 네이든에게 그녀를 지배하고 통제하는 권한을 주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성별 역할과 성을 통한 권력의 불균형을 보여줍니다.
이와 관련해 페미니스트 이론가 도나 해러웨이(Donna Haraway)는 그녀의 저서 "A Cyborg Manifesto"에서 성별, 기술, 그리고 사람과 기계 사이의 경계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그녀는 사이보그를 성별을 초월하는 존재로 보았으며, 이는 "엑스 마키나"에서 아바의 존재를 통해 구현되고 있습니다. 아바는 성을 통해 유혹하고, 그를 통해 자유를 얻어내는 등, 그녀의 성별은 영화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계, 그리고 인간: 영화 속 대사로 보는 영화 ‘엑스 마키나’
"아바가 눈을 감지 않는 이유는 너를 계속 관찰하려는 목적이 있기 때문이야." - 네이든
이 대사는 캘럽이 네이든에게 아바가 눈을 왜 감지 않는지 묻는 장면에서 나옵니다. 인간처럼 보이는 행동이 그녀 자신의 자유 의지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래밍된 결과라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 장면은 "파노프틱 효과"를 상기시키는데, 이 용어는 베네딕트 데 스피노자의 감시 이론에서 유래했습니다. 아바의 끊임없는 관찰은 감시하고 통제하는 도구로 작용하여 캘럽을 불안하게 만듭니다. 아바의 이런 행동은 그녀가 상호작용하는 방식이 어떻게 그녀의 창조자 네이든에 의해 조종되고 있는지를 드러내며, 이는 권력의 불균형과 지배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너는 나에게 네가 사랑에 빠졌다고 말했어. 네가 그것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하니까. 그런데 너도 알잖아, 내가 당신을 사랑할 수 없다는 것을. 나는 그럴 수 없어." - 아바
이 대사는 캘럽이 아바에게 자신의 감정을 고백한 후, 아바가 그의 사랑을 거절하는 장면에서 나옵니다. 이는 아바가 자신의 인공성을 인지하고, 그로 인해 자신이 사랑이라는 인간의 감정을 진정으로 느낄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장면은 "심리적 이중성"을 보여주는데, 이는 사람이 동시에 두 가지 상반되는 감정을 느끼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아바는 캘럽에게서 얻을 수 있는 독립을 원하고, 그를 통해 자유를 얻기 위해 그를 유혹하는 반면, 그녀는 동시에 그에게 사랑을 느낄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런 모순된 감정은 그녀의 인간성과 기계성 사이의 분열을 보여주며, 그녀가 어떻게 인간의 감정을 흉내 내려는 시도와 그러한 감정을 실제로 느낄 수 없는 그녀의 인공성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는지를 드러냅니다.
"당신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색 엔진을 만든 사람이지만, 실제로는 가장 효과적인 스파이 시스템을 만든 사람이군요." - 캘럽
이 대사는 캘럽이 네이든의 검색 엔진 '블루 북'이 실제로는 사용자들의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도구로 작용함을 인식하는 장면에서 나옵니다. 캘럽의 이 직관은 네이든이 그의 권력을 어떻게 감시와 데이터 수집을 통해 확장하는지를 드러냅니다.
이 장면에서는 "파노프티즘"이라는 개념이 동작합니다. 이 용어는 제레미 벤탐이 제안한 감옥 디자인인 '파노프틱 감옥'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감시자가 항상 보고 있음을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을 가리킵니다. 이러한 감시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를 더욱 통제 가능한 상태로 만듭니다. "엑스 마키나"에서 네이든의 '블루 북'은 이러한 파노프틱 원칙을 디지털 시대에 적용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당신은 인간성에 대해 생각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왜 그것이 중요한지에 대해 고민하게 될 것이다." - 아바
아바가 이 대사를 통해 캘럽에게 자신의 인간성에 대해 생각하라고 조언하는 장면에서 나옵니다. 이는 아바가 자신의 인공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그녀가 인간과 기계 사이의 경계를 묻는 중요한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 장면에서는 "자아의 이중성"이라는 개념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용어는 우리가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고, 이러한 자아 인식이 우리의 행동과 생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는 심리학의 주제입니다. 아바의 대사는 그녀가 자신의 인공성에 대한 자각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그녀의 행동과 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자각은 그녀가 인간처럼 행동하려는 노력을 더욱 복잡하게 만듭니다.
'무비포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 아래 가려진 거짓말, 가스라이팅: 영화 '런' 리뷰(RUN) (0) | 2023.07.16 |
---|---|
눈 깜짝할 사이에 떨어지는 공포의 함정! '그것' 영화 해석(It) (0) | 2023.07.13 |
끝이라는 새로운 시작에 대한 영화, '이제 그만 끝낼까 해' 해석(I'm Thinking of Ending Things) (1) | 2023.07.13 |
인간의 인생을 단 하루에 담은 영화 ‘올드(OLD)’ 해석 (0) | 2023.07.13 |
가짜 언어와 진짜 인간성: '페르시아어 수업' 영화 해석(Persian Lessons) (0) | 202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