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비포차

사랑 아래 가려진 거짓말, 가스라이팅: 영화 '런' 리뷰(RUN)

by 럭희7 2023. 7. 16.
728x90
반응형

런 (2020) RUN 포스터
런 (2020) RUN 포스터

 

"(2020) RUN"은 일상의 무서움이 천천히 악몽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묘사하는 심리 스릴러입니다. 이 영화는 감독 아니쇼 차간티가 이끄는 작품으로, 장애가 있는 소녀 클로이와 그녀를 과도하게 보호하는 어머니 다이앤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이 영화는 신뢰와 사랑이 어떻게 잘못된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는지 보여주는 공포극입니다. 감독은 이야기의 흐름을 점진적으로 풀어나가며, 캐릭터들 사이의 관계와 공포가 극장 전체를 불안감으로 가득 채우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전개합니다.

 

클로이는 평범한 청소년의 삶을 살고 싶어 하지만,, 그녀의 어머니 다이앤은 그녀의 삶을 완전히 통제하려고 합니다. 클로이가 자신의 신분에 대해 의문을 갖기 시작하면서, 영화의 긴장감은 점점 고조됩니다. 플롯의 각 단계에서, 관객은 자신이 무엇을 믿어야 할지, 누구를 신뢰해야 할지 고민하게 됩니다.

 

영화 ""은 이런 주제를 조명하면서도 스릴러의 요소를 결코 잃지 않습니다. 영화는 끊임없는 긴장감 속에 빠뜨리며, 심리적 공포를 통해 우리의 욕망과 두려움을 자극합니다.

 

과보호와 가스라이팅의 미묘한 경계

가스라이팅: 불균형한 힘의 관계

 

""에서 가장 두드러진 테마 중 하나는 가스라이팅입니다. 가스라이팅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현실감을 이용해 그 사람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통제하려는 형태의 심리적 조작입니다. 영화에서 다이앤은 클로이에게 거짓 정보를 제공하고 그녀의 경험을 부인하여 클로이가 자신의 현실을 의심하게 만듭니다. 이는 그녀가 클로이의 생활을 완전히 통제하도록 돕는 전략입니다.

 

이 주제는 로버트 D. 하레 (Robert D. Hare)의 심리학 연구에 깊이 뿌리반영되어 있습니다. 하레는 가스라이팅을 한 형태의 사이코패스 행동으로 보았습니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사이코패스는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들의 심리적 혼란을 이용하려고 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다이앤의 행동은 가스라이팅과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비밀과 거짓말: 진실을 찾아내는 탐구

 

""은 비밀과 거짓말에 대한 핵심적인 주제를 다룹니다. 이 영화는 클로이가 다이앤의 거짓말을 밝혀내며 그녀의 복잡한 현실을 이해하려는 여정을 보여줍니다. 이것은 모든 사람들이 자신들의 삶에서 진실을 찾고자 하는 강력한 욕구를 상징합니다.

 

이 주제는 소시오리지스트 에빙 고프만(Erving Goffman)의 '자기 표현이론'에 연결될 수 있습니다. 고프만은 사람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보호하고 사회적 관계를 관리하기 위해 정보를 조작하고 비밀을 유지하는 방법을 연구하였습니다. 이 이론은 ""에서 다이앤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녀는 클로이를 통제하고 그녀의 거짓을 숨기기 위해 거짓말을 합니다.

불안과 공포: 무력감과 자유에 대한 욕구

 

""은 불안과 공포를 주요 주제로 삼고 있습니다. 다이앤의 통제로부터 벗어나려는 클로이의 심리적 상황은, 심리적인 불안과 무력감이 어떻게 자유와 독립에 대한 강렬한 욕구로 바뀔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개념은 많은 심리학자들이 탐구한 주제 중 하나이지만,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작업에서 독특한 해석을 찾을 수 있습니다. 들뢰즈는 우리의 감정, 특히 공포와 불안이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고 그 안에서 행동하는 방식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연구했습니다. 들뢰즈의 이론에 따르면, 클로이의 불안과 공포는 그녀가 탈출을 결심하고 행동하기 위한 동기를 제공합니다.

신뢰와 배신: 가까운 관계에서의 무너진 신뢰

 

""은 가까운 관계, 특히 어머니와 딸 사이의 신뢰와 배신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다이앤의 거짓말과 사기로 인해 클로이가 겪는 신뢰의 파괴는 깊은 배신감을 초래하며, 그녀의 세계를 완전히 뒤바꾸어 놓습니다.

 

이러한 주제는 신뢰와 배신에 대한 심리학자 로이 F. 바우먼(Roy F. Baumeister)의 연구에서 확장될 수 있습니다. 바우먼은 배신이 개인의 정서, 사고,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했으며, 신뢰가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설명했습니다. ""에서 클로이와 다이앤의 관계는 이러한 이론의 실제적인 적용을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될 수 있습니다.

 

창밖으로의 달려가기: 대사로 보는 영화

728x90
"너는 어디에도 갈 수 없어, 클로이." - 다이앤

 

클로이가 어머니의 거짓말을 찾아내고, 외부 세상에 대한 그녀의 궁금증이 커지는 시점에 나온 대사입니다.

 

이 대사는 다이앤의 과도한 통제와 과보호를 보여주는 중요한 대사입니다. 다이앤은 자신의 행동을 사랑과 보호로 정당화하려 하지만, 이 대사는 그녀가 클로이를 통제하고 그녀의 독립을 제한하는 그녀의 강박적인 욕망을 드러냅니다.

 

심리학적으로 보면, 이는 통제 강박증(control obsession)이라는 개념을 연상시킵니다. 이는 개인이 다른 사람이나 상황을 통제하려는 강력한 욕구를 가질 때 나타나는 행동 패턴입니다. 이런 행동은 종종 가스라이팅과 같은 조작적인 행동과 연결되며, 그 사람들이 자신의 불안과 두려움을 다루는 방법일 수 있습니다.

"왜 이렇게 날 가두려고 하시는 거죠?" - 클로이

 

이 대사는 클로이가 어머니의 거짓말과 조작을 의심하고, 자신의 독립과 자유를 요구하는 장면에서 나온 대사입니다. 클로이가 그녀의 현실을 이해하고, 그녀의 삶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으려는 강력한 욕망을 보여줍니다. 또한, 이는 클로이가 자신의 어머니에 대한 불신감과 배신감을 표현하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그녀가 어머니의 통제에서 벗어나려는 그녀의 강력한 욕망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녀가 자신의 독립적인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나는 그저 너를 보호하려고 했을 뿐이야, 클로이." - 다이앤

 

이 대사는 다이앤이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려고 시도하는 순간에 나옵니다. 그녀의 거짓말과 조작이 드러나기 직전, 그녀는 자신의 행동을 클로이를 보호하려는 어머니의 사랑으로 치장하려고 합니다. 다이앤이 자신의 통제욕을 사랑의 형태로 변모시키려는 시도를 보여줍니다. 이는 사실상 가스라이팅의 한 형태입니다 다이앤은 자신의 행동을 변명하고, 클로이의 현실감을 왜곡함으로써 클로이를 통제하려 합니다.

 

런 예고편
 

런 | 넷플릭스 공식 사이트

외딴집에서 엄마의 간병을 받으며 살아온 십 대 소녀 클로이. 이제는 집을 떠나 자유롭게 살고 싶다. 그런데 왠지 엄마가 방해하는 것 같은 느낌. 엄마가 감추고 있는 불길한 비밀은 무엇일까.

www.netflix.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