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비포차

영화 어톤먼트 속 철학적, 심리학적 해석 (Atonement)

by 럭희7 2023. 8. 12.
728x90
반응형

어톤먼트 (Atonement, 2007) 포스터

 

영화 "어톤먼트 (Atonement, 2007)"는 이안 맥이완의 동명의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입니다. 영화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며, 각 부분은 서로 다른 시간대와 배경에서 진행됩니다.

 

1. 1935, 잉글랜드의 컨트리 하우스

 

영화는 1935, 잉글랜드의 부유한 가정에서 시작됩니다. 브라이오니 톨리스는 어린 소녀로, 그녀의 누나 씨실리아와 가정의 하인 로비 터너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잘못된 해석으로 큰 오해를 일으킵니다. 브라이오니는 로비가 그녀의 누나를 폭행한 범인으로 잘못 간주하게 되는데, 이 오해는 로비의 생애에 큰 참사를 가져오게 됩니다.

 

2. 2차 세계대전

 

로비는 군대에 참전하게 되며, 프랑스에서 대피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고난을 겪게 됩니다. 그동안 브라이오니는 그녀의 실수를 인식하게 되고, 병원에서 간호사로 일하면서 그 오해를 바로잡기 위한 방법을 찾기 시작합니다.

 

3. 현재 (2000년대)

 

브라이오니는 노년이 된 작가로 등장하며, 그녀의 죄를 속죄하기 위해 그동안의 일을 소설로 쓰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그녀가 지은 잘못과 그 결과로 인한 씨실리아와 로비의 슬픈 운명이 밝혀집니다.

 

영화는 사랑, 오해, 그리고 속죄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감독 조 라이트의 독특한 연출과 영화의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로 많은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어톤먼트 분석: 영화 속 철학적, 심리학적 해석

진실의 상대성과 인식의 한계

 

영화에서 브라이오니는 그녀가 목격한 사건을 자신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해석하게 됩니다. 그 결과로 인해 로비의 인생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것은 인간의 인식 한계와 진실의 상대성에 대한 주제를 제기합니다.

 

학자로는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가 이와 관련된 생각을 가졌습니다. 푸코는 "지식과 권력"에 관한 연구에서 진실이 오로지 한 가지가 아니라 다양한 권력관계를 통해 형성되며, 그 권력의 구조 속에서 우리가 '진실'로 받아들이는 것이 결정된다고 주장했습니다. 브라이오니의 해석은 그녀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과 개인적 경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었을 것이며, 이는 푸코의 진실에 대한 주장과 맞닿아 있습니다.

속죄와 개인의 책임

 

영화의 주제 자체는 '속죄'입니다. 브라이오니는 자신의 잘못된 판단으로 인한 결과를 깨닫고, 그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것은 인간의 내면에서 느끼는 죄책감과 그 죄책감을 통해 나아가려는 개인의 책임에 관한 딥다이브입니다.

 

제인 어스틴 (Jane Austen)은 그녀의 작품들에서 인간관계와 개인의 책임, 그리고 오해와 속죄에 대한 주제를 다루었습니다. 특히 "오만과 편견 (Pride and Prejudice)"에서는 주인공 엘리자베스의 잘못된 판단과 그로 인한 죄책감, 그리고 그 잘못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이러한 주제는 "어톤먼트"에서도 브라이오니의 캐릭터를 통해 잘 드러나며, 어스틴의 작품과 함께 높은 예술성과 깊은 철학적 통찰을 통해 인간의 내면을 이야기합니다.

언어와 의사소통의 한계

 

영화는 브라이오니가 읽은 로비의 편지와 그로 인한 오해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는 언어와 의사소통의 한계를 보여주는 좋은 예시입니다. 두 사람이 동일한 문장을 읽어도 그 문장에서 다르게 느낄 수 있고, 그로 인해 전혀 다른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학자로는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Ludwig Wittgenstein)이 있습니다. 그는 "언어의 철학"에서 언어와 그 의미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비트겐슈타인은 언어가 가지는 한계와 그 한계를 넘어서는 방법에 대해 주장했으며, "어톤먼트"는 그런 한계를 직면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어톤먼트'의 대사 분석: 영화 속 심리해석

728x90
"너를 향한 내 사랑은 그 어떤 것도 바꿀 수 없어." - 로비

 

로비는 세실리아에게 사랑의 감정을 고백하며 이 말을 합니다. 그는 편지를 통해 그녀에게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려 했지만, 잘못된 편지가 브라이오니에게 전해진 상황에서 이 대사가 나옵니다. 이 대사는 그의 불변하는 사랑을 강조합니다. 사건의 혼란 속에서도 그의 진실한 마음은 변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그가 세실리아를 향한 진심을 절대로 잃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보여주는 순간이기도 합니다.

 

여기서 볼 수 있는 로비의 감정은 "불변의 애착 (Secure Attachment)"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애착 이론에 따르면, 안전하게 애착되는 사람들은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신뢰와 연결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로비의 대사는 그가 세실리아에 대한 안전한 애착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내가 쓴 것은 실제와는 다른 이야기일 뿐이야. “ - 브라이오니의 대사

 

노년이 된 브라이오니는 소설가로서 그녀가 저지른 잘못을 바로잡기 위해 이야기를 씁니다. 그녀는 이 대사를 통해 그 이야기가 그녀의 바람이나 희망을 담고 있지만, 현실과는 다르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이 대사는 그녀의 죄책감과 그것을 소설을 통해 어떻게든 바로잡고자 하는 마음을 보여줍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현실에서 일어나지 않았던, 로비와 세실리아의 행복한 결말을 포함하고 있어 그녀의 속죄의 욕망을 드러냅니다.

 

브라이오니는 "컴펜세이션 (Compensation)"의 방법을 사용해 자신의 내면의 죄책감을 해소하려고 합니다. 컴펜세이션은 개인이 느끼는 부족함이나 부정적인 감정을 다른 방법으로 보상하려는 행동입니다. 브라이오니의 소설 작성은 그녀의 잘못을 바로잡기 위한 보상 행동으로 볼 수 있습니다.

"너가 있어야만 살 수 있어." - 로비

 

로비는 전쟁 중인 프랑스에서 편지를 통해 세실리아에게 자신의 현재 상황과 감정을 전달합니다.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도 그는 세실리아를 향한 강렬한 사랑을 잊지 않습니다.

 

이 대사는 로비의 생존 의지와 그가 세실리아를 향해 느끼는 감정의 깊이를 보여줍니다. 그의 사랑은 그에게 힘과 용기를 주며, 전쟁의 고통 속에서도 그를 지탱하게 합니다.

 

여기서 로비의 감정은 ""타깃 특화적 의지력 (Target-Specific Willpower)"에 해당됩니다. 그의 사랑은 특정 목표(세실리아)에 초점을 맞추어 그를 전쟁의 어려움에서 이끌어 나가게 합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향한 강한 감정이 그의 행동과 선택을 지배하게 되며, 그는 그 감정을 통해 생존의 의지를 발휘하게 됩니다.

 

 

 

어톤먼트 | 왓챠

드라마 · 안타까운 · 2시간 2분

watcha.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