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비포차

인간의 본성과 인종차별 넘어서기: 영화 "그린 북 (Green Book)"리뷰

by 럭희7 2023. 5. 11.
728x90
반응형

영화 그린북 포스터
영화 그린북 포스터

 
"그린 북 (Green Book)"은 2018년에 개봉한 미국의 드라마 영화로, 인종차별과 우정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영화는 백인 이탈리아계 경호원 토니 발레롱가 (비고 모텐슨 분)와 아프리카계 미국인 천재 피아니스트 돈 셜리 박사 (마허샬라 알리 분)가 1960년대 남부 미국을 여행하면서 겪는 여러 모습을 그립니다. 이 여행은 돈 셜리의 콘서트 투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이들은 여행 중 겪는 인종차별과 편견을 극복하며 서로에 대해 배우고 성장하는 과정을 통해 깊은 우정을 쌓게 됩니다.
 

영화 '그린 북': 우정, 성장, 그리고 사회적 정체성의 힘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인간 본성의 성장

영화에서 돈 셜리 박사와 토니 발레롱가는 인종차별과 편견에 맞서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관계를 발전시키며 인간 본성의 성장을 경험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영화는 인간의 성장과 변화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철학자 마틴 부버는 이와 관련해 "나와 너(I and Thou)"라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타인과의 진실한 대화와 관계를 통해 인간이 성장하고 본성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마틴 부버의 "나와 너(I and Thou)" 개념은 인간의 관계와 대화를 중심으로 한 철학적 사고입니다. 이 개념은 인간이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고 소통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인간의 존재와 경험을 바라봅니다.

 
"나와 너"에서 "나(I)"는 자기 자신을 나타내며, "너(Thou)"는 다른 사람을 의미합니다. 브루버는 인간의 관계가 "나와 그것(I and It)"과 "나와 너(I and Thou)"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고 주장합니다. "나와 그것"은 객관적이고 거리감이 있는 관계를 말하며, "나와 너"는 진실하고 깊은 대화를 통해 이루어지는 친밀한 관계를 의미합니다. 즉, 타인과 진실한 대화와 연결을 통해 우리는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인간으로서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러한 관점은 인간의 존재와 경험을 이해하고, 우리가 서로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줍니다. 영화에서 돈 셜리 박사와 토니 발레롱가의 관계를 통해 구현되며, 관객들에게 타인과의 진실한 관계가 인간의 성장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합니다.
 

 

생각을 바꾸는 철학: 마틴부버의 대화철학(Martin Buber - dialogical philosophy)

부버의 대화 철학이란 무엇인가 마틴 부버(Martin Buber, 1878-1965)는 유대 철학자로서, 그의 주요 작품인 "나와 너(I and Thou)"에서 제시한 '대화 철학(dialogical philosophy)'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부버는

luckhee77.tistory.com

 

인간의 동질성과 다양성의 인정

영화는 인종차별과 편견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동질성과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철학적 주제를 다룹니다. 영화에서 돈 셜리 박사와 토니 발레롱가는 인종과 문화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법을 배웁니다.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이와 관련해 "인류의 용인"이라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인간이 다양한 문화, 인종, 신념에도 불구하고 동질성을 인정하며 서로를 존중하고 용인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생각은 영화에서 돈 셜리 박사와 토니 발레롱가가 인종차별과 편견을 이겨내는 과정을 통해 표현되며, 관객들에게 인간의 동질성과 다양성의 인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합니다.
 

이해와 공감의 힘

이들은 여행을 통해 서로의 차별과 편견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서로에게 좋은 영향을 끼치며 인간관계의 깊이와 진실성을 발견합니다. 이 주제는 영국 철학자 데이빗 휴먼의 이론과 관련이 있습니다.
 
데이빗 휴먼은 스코틀랜드의 철학자로, 인간의 인식, 도덕, 정서, 사회 현상 등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제시했습니다. 휴먼의 이론 중 영화 "그린 북"과 관련된 주요 개념은 인간의 도덕과 정서에 관한 것입니다. 휴먼은 도덕과 정서가 인간의 이성보다는 경험과 감정에 기반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도움을 받는 것이 이성적 판단이 아닌 감정의 힘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러한 관점은 영화 "그린 북"에서 돈 셜리 박사와 토니 발레롱가 사이의 관계 발전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영화에서 돈 셜리 박사와 토니 발레롱가는 서로의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깊은 우정을 발전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두 주인공은 서로의 차별과 편견을 이겨내고, 감정의 연결을 통해 더 나은 인간관계를 성취합니다. 휴먼의 감정 기반 도덕 철학은 이러한 관계 변화를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영화의 핵심 주제와도 연관됩니다.
 

그린북 보러가기 - https://www.netflix.com/kr/title/81013585?source=35 

 

그린 북 | 넷플릭스

교양 있고 우아한 피아니스트가 산전수전 다 겪은 운전기사를 고용해 콘서트 투어를 떠난다. 인종 차별이 만연한 남부 지역으로.

www.netflix.com

 

'그린 북' 리뷰: 영화 속 명대사

 

728x90

 

세상은 변했어, 토니. 넌 변해야 해. - 돈 셜리 박사 (마허샬라 알리)

 
이 대사는 영화 중반부에서 돈 셜리 박사와 토니 발레롱가가 차 안에서 대화를 나누는 장면에서 나옵니다. 돈 셜리 박사는 토니에게 인종차별과 편견을 극복하고, 세상의 변화에 적응할 필요성을 일깨워 줍니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통해 인간이 끊임없이 성장하고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은 인문학 용어로 "인간의 발달"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인간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식, 가치관 및 행동 방식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인문학 용어 "인간의 발달"은 인간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식, 가치관, 행동 방식, 그리고 사회와 문화적 차원에서 변화와 성장을 겪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개인의 삶과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며, 사회와 문화적 환경에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인간의 발달"은 인간이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성장함으로써 더 나은 삶을 추구하고, 새로운 가치와 이해를 창출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당신이 존중받고 싶다면, 당신 스스로를 존중해야 해요. - 돈 셜리 박사 (마허샬라 알리)

 
이 대사는 영화에서 돈 셜리 박사와 토니 발레롱가가 남부 지역에서 겪는 인종차별의 어두운 현실을 직면한 상황에서 나옵니다. 돈 셜리 박사는 이 대사를 통해 인종차별에 맞서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을 존중하고 자존감을 높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인간의 정체성과 자아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그것이 어떻게 인간의 행동과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줍니다.
 

어느 편에 속해야 할지 모르겠어. 내가 흑인인지, 백인지도 모르겠어. - 돈 셜리 박사 (마허샬라 알리)

 
이 대사는 영화에서 돈 셜리 박사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갈등을 표현하는 순간입니다. 그는 흑인 커뮤니티와 백인 사회 사이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지 못하며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겪습니다. 이 장면에서 돈 셜리 박사의 정체성 갈등을 통해 인간의 사회적 정체성과 소속감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관객들은 이를 통해 인간의 정체성과 소속감이 어떻게 그들의 삶과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체성과 소속감이 인간의 삶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영화 그린북 예고편

 
저는 영화 "그린 북"을 통해 인종차별, 정체성, 이해와 공감, 그리고 인간 본성과 같은 다양한 주제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할 기회를 얻었습니다. 이 영화는 단순한 여행 이야기를 넘어, 인간의 내면세계와 사회적 현실에 대한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린 북"은 우리 모두가 자신의 삶에서 마주치게 될 인간관계와 가치관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게 합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도 이 영화를 통해 자신의 내면세계와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해 돌아보는 시간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음 영화 소개와 함께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다음 글에서 또 만나요! 감사합니다 땡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