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드보이"는 2003년에 개봉한 한국의 대표적인 복수 스릴러 영화입니다. 박찬욱 감독의 뛰어난 연출력과 최민식, 유지태, 강혜정 등 훌륭한 배우들의 연기력이 결합하여 뛰어난 완성도를 자랑합니다.
영화의 주인공인 오대수는 낯선 사람에게 납치되어 15년 동안 같은 방에서 생활합니다. 그러던 어느날 텔레비전을 통해 자신의 아내가 살해되었고, 그를 용의자로 지목하는 것을 알게 됩니다.
15년 후, 오대수는 갑작스럽게 세상으로 던져집니다. 자신을 가둔 이유와 가해자의 정체를 알아내기 위해, 오대수는 집요하게 추적합니다. 그 과정에서 그는 미수에게 사랑을 느끼게 되지만, 이 둘의 관계는 복수의 과정에 더욱 꼬이게 됩니다.
"올드보이"는 그 자체로 불편하고 충격적인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복수, 죄책감, 그리고 용서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올드보이 리뷰: 심리학과 철학의 교차점
욕망의 고뇌와 본능
"올드보이"는 우리가 어떻게 우리의 욕망과 본능을 통제하거나 통제하지 못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합니다. 영화의 주인공, 오대수는 그의 복수의 욕망에 의해 주도되는데, 이는 그가 자신의 상황을 이해하고 그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능력을 저해합니다.
이러한 주제는 프로이트의 심리 이론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프로이트는 우리의 행동이 크게 무의식적인 욕망과 본능에 의해 주도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욕망은 우리의 성적 욕구와 생존 본능, 그리고 이를 억제하는 사회적인 규범과의 갈등을 반영합니다. 이는 "올드보이"에서 오대수의 복수 욕망이 그의 판단을 흐리고, 그로 인해 그가 자신의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게 하는 방식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기억, 진실, 그리고 자아
"올드보이"는 기억이 우리의 자아를 어떻게 구성하고, 그러한 기억이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합니다. 오대수는 15년 동안의 감금 후 자신의 과거에 대한 기억을 회복하려 노력하지만, 그의 기억이 왜곡되거나 조작되어 진실을 왜곡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주제는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의 주장과 연관이 있습니다. 데카르트는 우리의 인식이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우리의 경험과 기억이 항상 왜곡되거나 오해될 수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이는 "올드보이"에서 오대수의 기억이 그의 자아를 구성하는 방식, 그리고 그러한 기억이 왜곡되거나 조작될 때 그의 자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묘사하는 방식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인간의 신체와 정신의 분리
"올드보이"는 인간의 신체와 정신이 어떻게 분리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합니다. 오대수는 15년 간의 감금 중에 신체적인 자유를 잃어버리지만, 그의 정신은 자유롭게 고민하고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신체와 정신의 분리는 오대수의 신체가 감금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마음이 여전히 자유로울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르네 데카르트의 '신체-정신 이분법'에 연관이 있습니다. 데카르트는 신체와 정신을 본질적으로 다른 두 종류의 물질로 보았습니다. 이것은 'Cogito, ergo sum'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그의 유명한 주장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정신은 신체적인 제약에 독립적으로 생각하고 존재할 수 있습니다.
"올드보이"에서 이 철학적 이론은 오대수의 상황을 통해 구체화됩니다. 그의 신체는 감금되었지만, 그의 정신은 생각하고 고민하며, 복수의 계획을 세우고 실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신체와 정신이 어떻게 분리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분리가 어떤 상황에서도 우리의 인간성을 유지하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강력한 예시입니다.
무엇이 복수를 원하는가? 영화 '올드보이' 속 대사
올드보이 보러가기 - https://www.netflix.com/kr/title/70024111?source=35
"시간은 모든 것을 해결해주지만, 동시에 모든 것을 잊게도 해." - 오대수
이 대사는 오대수가 자신의 15년 동안의 고립에서 해방된 후에 나옵니다. 그는 시간이 그에게 상처와 고통을 치유하는 동시에 그의 기억을 흐리게 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이 대사는 '시간'과 '기억'에 대한 두 가지 중요한 주제를 다룹니다. 오대수는 시간이 고통을 치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그 과정에서 중요한 것들을 잊게 될 수 있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이는 프로이트의 '억압' 이론을 반영하는데, 그는 우리가 트라우마적인 경험을 잊거나 의식하지 않게 함으로써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오대수가 그의 감금 경험으로부터 회복하는 과정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그는 그의 과거를 완전히 잊어버리면서 중요한 사실과 진실을 잃어버릴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이는 그의 삶의 진정한 의미와 그 자신에 대한 이해를 위협하는 상황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나도 모르게 사랑하게 되었는데... 나는 어떡해야 하지?" - 오대수
이 대사는 오대수가 미수에게 첫사랑을 고백하는 장면에서 나옵니다. 오대수는 15년 간의 감금 후 세상에 나와 사랑을 느끼는 건 충격적입니다. 그는 누구에게나 사랑의 기쁨을 느낄 권리가 있음에도, 그의 상황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이 사랑이 행복을 가져올 수 없음을 알고 있습니다.
이 장면은 '인간의 복잡한 가치 체계'와 관련된 인문학적인 이야기를 보여줍니다. 사랑은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감정으로 간주되지만, 그것이 복잡한 상황과 얽히면 이런 감정은 고통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이는 오대수가 겪는 '인간의 존재의 모순'을 반영하며, 존 폴 사르트르의 '존재주의'철학에 일치하는 내용입니다. 사르트르는 인간이 직면하는 자유와 책임이 인간에게 고통을 주는 원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오대수는 사랑이라는 감정을 자유롭게 느끼지만, 그의 과거와 현재 상황에 따른 책임감이 그에게 고통을 주고 있습니다.
"갇힌 것은 어디까지나 너의 마음뿐이야, 오대수." - 우진
이 대사는 우진이 오대수를 15년 감금한 이유를 설명하며 나옵니다. 이 장면에서 우진은 오대수에게 그의 감금이 오대수 자신의 마음속에서만 갇혀있다고 지적합니다.
이 대사는 핵심적인 해석을 제공하는데, 이는 오대수가 그의 과거를 기억하지 못함으로써 그 자신을 감금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존 폴 사르트르의 존재주의 철학에 의해 반영되는데, 그는 우리가 우리의 과거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대신 우리의 존재가 우리 자신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오대수의 '감금'은 그 자신이 어떻게 그의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고 받아들일지에 대한 그의 선택에 달려 있다는 것입니다.
풍부한 철학과 심리학적 이야기는 우리가 영화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하는 동시에, 우리 자신과 주변 세계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짧은 글이 여러분의 생각과 감정을 깊이 파고드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것이 복수의 욕망이 어떻게 우리를 이끄는지, 시간과 기억이 어떻게 우리의 인식을 형성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새로운 삶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함께 해보시길 바랍니다. 다음에 또 다른 영화로 만나요!! 땡큐!!
'무비포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의 섬, 현실의 바다: 영화 '캐스트 어웨이' 리뷰 (Cast Away) (0) | 2023.06.11 |
---|---|
완벽한 향수를 찾아서: 영화 '향수-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해석(Perfume: The Story of a Murderer) (0) | 2023.06.10 |
우리는 모두 '잠깐 멈춘' 사람일 뿐. 영화 ‘터미널’리뷰 (The Terminal) (0) | 2023.06.10 |
살인자의 기억법 리뷰: 영화로 배우는 심리학(MEMOIR OF A MURDERER) (0) | 2023.06.09 |
‘하울의 움직이는 성' 해석: 심리학과 철학이 만나다 (Howl's Moving Castle) (1) | 2023.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