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비포차

영화 "스타 이즈 본 (A Star Is Born)"의 철학적 해석: 사랑, 자기일관성 그리고 진정성

by 럭희7 2023. 5. 18.
728x90
반응형

"스타 이즈 본 (A Star Is Born)" 포스터
영화 "스타 이즈 본 (A Star Is Born)" 포스터

 

"스타 이즈 본 (A Star Is Born)"은 가슴을 울리는 음악과 깊은 사랑, 그리고 그것을 둘러싼 슬픔과 희망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입니다. 영화의 주인공은 낙오된 음악가 잭슨 메인(Jackson Maine, 브래들리 쿠퍼 분)과 그의 발견한 무명의 재능있는 가수 앨리(Ally, 레이디 가가 분)입니다. 잭슨은 앨리의 숨겨진 재능을 발견하고 그녀의 음악 세계를 펼쳐나가는 동시에 둘 사이에는 깊은 사랑이 싹트게 됩니다. 그러나, 앨리의 별이 반짝이기 시작하면서 잭슨은 자신의 음악 삶과 개인적인 문제에 대해 직면하게 되며, 이는 그들의 관계에 깊은 갈등을 불러일으킵니다. 이 영화는 사랑, , 그리고 희망과 절망이 교차하는 곳에서 인간의 본질을 깊이 있게 들여다 봅니다.

 

"스타 이즈 본 (A Star Is Born)" 명대사의 의미: 사랑, 자기일관성 그리고 진정성

 

"너는 그냥 앨리야. 그게 다야." (잭슨 메인, 브래들리 쿠퍼)

 

이 대사는 잭슨이 앨리에게 보내는 간절한 메시지이며, 이는 '실재주의'라는 철학 개념을 통해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실재주의는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세계를 중요시하는 관점으로, 잭슨은 이 대사를 통해 앨리에게 그녀 자신의 본질, 즉 그녀가 '스타'가 아닌 '앨리'로서의 가치를 인식하길 원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는 '진정성'이라는 심리학적 개념을 반영합니다. 잭슨은 앨리에게 진정성을 향한 그의 열망을 표현하고 있으며, 이는 그가 그녀에 대한 진심을 강조하며 그녀의 사랑을 얻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진심을 노래하지 않으면 끝이야. 지금은 사람들이 당신 이야기를 듣겠지만 계속 그러진 않을 거야. 사람들이 언제나 당신 노래를 들어줄지 겁내지 말고 그냥 하고 싶은 얘기를 해." (잭슨 메인)

 

이 대사는 '자기일관성''현상학'이라는 심리학적 및 철학적 개념을 반영합니다. 자기일관성은 개인이 자신의 가치, 신념, 행동 등이 일관되게 유지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잭슨은 앨리에게 그녀의 음악이 자신의 진정한 감정과 경험을 반영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이는 앨리가 자신의 가치와 신념을 일관되게 표현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또한, 이 대사는 현상학적 접근법을 반영합니다. 현상학은 개인의 경험을 중심으로 세계를 이해하려는 철학적 접근법입니다. 잭슨은 앨리에게 그녀의 음악이 그녀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표현해야 한다고 말함으로써, 그녀의 개인적인 경험과 감정이 세계에 대한 그녀의 이해와 표현의 중심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난 당신을 사랑해. 항상 사랑할 거야. 하지만 내가 당신을 해칠 거라는 걸 알아. 그러니까 떠나." (앨리)

 

이 대사는 앨리의 '자기보호''사랑의 딜레마'를 반영합니다. 자기보호는 개인이 자신을 상처받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행동을 의미하며, 이는 앨리가 자신을 잭슨의 문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그를 떠나야 한다는 결정을 내린 것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이 대사는 사랑의 딜레마를 보여주는데, 이는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상처를 받을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사랑과 자신을 보호하는 것 사이에서의 갈등을 의미합니다. 앨리는 잭슨을 사랑하지만 그의 문제로 인해 그를 떠나야 함을 인지하고 있으며, 이는 그녀가 사랑과 자신을 보호하는 것 사이 사이의 딜레마를 경험하고 있는 것을 보여줍니다.

 

스타이즈본 보러가기 - https://www.netflix.com/kr/title/80221908?source=35 

 

스타 이즈 본 | 넷플릭스

가수를 꿈꾸는 여자가 톱스타 뮤지션인 남자를 만나 열정적인 사랑에 빠져든다. 함께하는 시간 동안 여자는 스타의 길로 비상하지만, 남자는 고통과 고뇌 속에 점점 무너져가는데.

www.netflix.com

"스타 이즈 본“: 철학, 심리학 그리고 사회학을 통해 영화 이해하기

 

728x90

 

인기와 인간의 가치

"스타 이즈 본"에서는 앨리의 급격한 성공과 잭슨의 몰락이라는 두 인물의 삶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지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현대사회에서 인기와 성공의 가치에 대해 고찰할 수 있습니다. 앨리는 스타가 되면서 세상으로부터 찬사를 받으나, 동시에 자신만의 음악적 정체성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반면, 잭슨은 성공과 인기를 거머쥐었으나 이를 유지하지 못하며 내면의 고통을 겪습니다. 이를 통해 인기와 성공이 인간의 가치를 결정짓지 않음을 상기시키며 철학자 아르토 다도르의 '인간의 존엄'에 대한 주장과 연관지을 수 있습니다. 아르토 다도르는 인간의 가치가 개인의 능력이나 성공과는 상관없이 그 자체로 존엄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창조와 파괴의 양면성

영화에서는 잭슨이 앨리의 창조적 에너지를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그녀와의 관계와 자신의 삶에서 파괴적인 요소도 드러납니다. 이를 통해 현대사회에서 창조와 파괴의 양면성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잭슨의 음악적 열정은 앨리의 놀라운 재능을 끌어올리지만, 그와의 인생은 서로에게 독이 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양면성은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의 '창조적 파괴' 개념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니체는 창조와 파괴가 불가분의 관계로, 새로운 것을 탄생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것을 파괴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처럼 영화에서 잭슨과 앨리의 삶은 창조와 파괴의 양면성을 보여주며, 우리에게 인생의 본질과 가치에 대한 고민을 던져줍니다.

 

 

실제와 가상의 경계

"스타 이즈 본"에서는 앨리의 빠른 스타덤이 실제와 가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듭니다. 그녀의 퍼포먼스는 대중들에게 환상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그녀의 진정한 자아와 음악적 정체성을 희석시키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이는 철학자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와 시뮬레이션' 이론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보드리야르는 현대 사회에서 복제와 시뮬레이션의 홍수가 실제와 가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사람들이 가상을 실제로 인식하는 현상에 대해 분석했습니다. 이 영화를 통해 우리는 그런 현상이 어떻게 개인의 삶과 신분에 영향을 미치는지 볼 수 있습니다.

 


 

"스타 이즈 본 (A Star Is Born)"예고편

 

이 글을 통해 '스타 이즈 본'이라는 영화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었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의 삶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즐거운 시간이 되셨길 바라며, 다음에 또 다른 흥미로운 이야기로 찾아뵙겠습니다. 그 때까지 행복한 시간 되세요, 감사합니다 땡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