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은 18세기 끝 프랑스를 배경으로 한 사랑 이야기입니다. 이 영화는 Céline Sciamma가 감독했고, 두 여성, 화가 Marianne (Noémie Merlant가 연기)와 그녀의 피사체로서의 Héloïse (Adèle Haenel이 연기)의 사랑을 그립니다.
Marianne는 Héloïse의 결혼식 초상화를 그리기 위해 고용되었습니다. 하지만 Héloïse는 그림을 그려주는 것을 거부하므로, Marianne는 그녀를 보고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그녀를 관찰하고 그것을 기억에서 그려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두 여성 사이에 깊은 감정이 생겨납니다.
영화는 대화, 시선, 그리고 터치를 통해 두 여성 사이의 감정을 매우 미묘하게 전달합니다. 그들의 사랑 이야기는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더 강렬하게 타올라가며, 영화의 이름인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을 완벽하게 보여줍니다. 그들의 관계가 점차적으로 발전하면서, 그들의 사랑, 욕망, 그리고 손실에 대한 이야기는 시청자들에게 강한 감동을 주는 동시에 여성의 욕망과 사랑에 대한 독특한 연출로 이야기합니다..
이 영화는 그림이라는 예술 형식을 통해 사랑에 대한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이야기하면서, 시청자들에게 사랑, 예술, 그리고 욕망에 대한 깊은 사유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사랑하는 이의 모습을 그리는 것은 그 사랑을 영원히 기억에 남기는 것이며, 그것은 바로 이 영화의 핵심 테마입니다.
동성애, 사랑, 그리고 예술: 영화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해석
동성애와 사회의 수용성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은 동성애에 대한 논의를 다루는 데 있어 중요한 영화입니다. 18세기 사회에서는 동성애는 비밀리에 존재하고, 대체로 부인되거나 벌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사회 환경에서 Marianne와 Héloïse의 사랑은 불가능하다고 생각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영화는 그들의 관계를 인간적인 욕망과 사랑의 맥락에서 다루었기 때문에, 우리는 그들의 관계가 사회적 규범에 어떻게 도전하는지를 보게 됩니다. 이런 해석은 사회학자 Judith Butler의 젠더 이론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젠더가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라는 개념을 제시했으며, 이는 사람들이 자신의 성 정체성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영화는 Butler의 이론을 재해석하고, 동성애를 사회가 수용해야 하는 필연적인 성 정체성으로 제시함으로써 동성애에 대한 편견과 부정적인 태도에 도전합니다.
여성의 자유와 동등성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은 동성애를 넘어서 여성의 독립과 자유에 대한 논의를 확장합니다. Marianne와 Héloïse는 전통적인 여성 역할에서 벗어나 사랑하고, 예술을 추구하고, 자신의 운명을 통제하려는 노력을 보여줍니다. 이것은 18세기 사회에서 일반적이지 않았지만, 이런 표현은 21세기의 여성 권리 운동과 연관됩니다. 학자 Simone de Beauvoir의 젠더 이론은 여성이 '타자'로 여겨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과 운명을 통제하는 주체로서의 위치를 인정받아야 한다는 주장을 했습니다. 영화는 Beauvoir의 이론을 반영하여 여성의 자유와 독립을 탐색하며, 동시에 성별 평등에 대한 고민을 제기합니다.
기억과 손실에 대한 미학
영화는 사랑과 손실, 그리고 이들이 기억에 어떻게 남는지를 예술적으로 탐구합니다. Marianne의 그림은 그녀의 기억과 사랑의 감정을 보존하는 수단입니다. 이는 사랑과 손실이 개인의 기억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고, 개인의 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주제는 프랑스 철학자 Gaston Bachelard의 작업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는 기억과 공간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개인의 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영화는 Bachelard의 이론을 활용하여 사랑과 손실이 개인의 기억과 정체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며, 이를 통해 더 깊은 감정적 통찰을 제공합니다.
비밀과 은밀성의 역할
이 영화는 비밀과 은밀성의 역할에 대해 탐색합니다. Marianne와 Héloïse의 관계는 처음에는 비밀스럽게 시작되며, 그들의 사랑이 성장함에 따라 이 비밀은 더욱 중요해집니다. 이는 세상에서 그들을 떼어낼 수 없는 압력과 이에 대응하는 그들의 개인적인 욕구와 감정의 복잡성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주제는 Sigmund Freud의 정신 분석 이론과 관련이 있습니다. Freud는 개인의 내면세계와 욕망이 그들의 행동과 선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했습니다. 이 영화는 Freud의 이론을 활용하여 비밀과 은밀성이 사랑과 욕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합니다.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영화의 대사를 통해 본 심리학
"나를 보지 말아요. 그래야 나도 당신을 볼 수 있을 테니까요." (Marianne)
이 장면은 Marianne이 처음으로 Héloïse를 그릴 때의 상황입니다. 그러나 Héloïse는 모델로서 포즈를 취하는 것이 아니라 Marianne과 함께 행동하며, 그녀를 관찰하고 이해하기 위해 그녀를 더 가까이에서 보게 됩니다. 이 대사는 '보는' 행위와 이에 대한 교환에 대한 개념을 탐구합니다. Marianne이 보는 것은 단순히 그림을 그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Héloïse에 대한 깊은 이해와 감정적 연결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행위입니다.
이 대사는 Jacques Lacan의 정신 분석 이론, 특히 '거울 단계'와 관련이 있습니다. Lacan은 이 단계에서 개인이 자아를 인식하고 형성하는 것을 설명합니다. Marianne의 '보는' 행위는 이론에 따라 그녀의 자아와 타인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고, 그 과정에서 Héloïse에 대한 사랑을 발견합니다.
"나는 우리가 더 이상 같지 않기를 원했어요. 그래서 그림에서 나를 찾을 수 없게 되었죠." (Héloïse)
이 대사는 Marianne이 Héloïse의 초상화를 완성한 후의 상황에서 나옵니다. Héloïse는 그림에서 자신을 찾을 수 없다고 말하며, 이는 그녀의 아이덴티티와 독립성에 대한 갈망을 보여줍니다. 그림은 그녀의 어머니가 원하는 것을 표현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그것은 Héloïse 자신을 충분히 표현하지 못합니다.
이 대사는 Simone de Beauvoir의 유명한 명언, "여성은 태어나지 않고 만들어진다"와 관련이 있습니다. Beauvoir는 이 말로 여성의 아이덴티티가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라는 젠더 이론을 설명했습니다. Héloïse의 대사는 Beauvoir의 이론을 반영하며, 그림이 그녀의 진정한 정체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방식을 통해 그녀가 어떻게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여성'의 기대와 벗어나려고 노력하는지를 보여줍니다.
"당신이 그림에서 원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
"당신을 원합니다." (Héloïse와 Marianne)
이 대화는 Marianne이 Héloïse의 초상화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이루어집니다. Héloïse는 Marianne에게 어떤 것을 그림에서 기대하는지 물었고, Marianne은 자신이 Héloïse 자체를 원한다고 대답했습니다. 이 대화는 두 여성 사이의 감정적인 교환을 명확하게 표현하며, 그들 사이의 관계가 단순히 화가와 모델의 관계가 아닌 사랑하는 연인의 관계로 발전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 대화는 Sigmund Freud의 욕망 이론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Freud는 우리의 행동과 선택이 근본적으로 우리의 무의식 욕망에 의해 주도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Marianne의 "당신을 원합니다"라는 대답은 그녀의 무의식 욕망을 표현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욕망은 그녀가 그림을 그리면서 Héloïse를 더 깊이 이해하고, 그녀에 대한 감정을 더욱 강하게 느끼게 합니다.
'무비포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실공포, 인간의 존재와 생존에 대하여: 영화 “O2 Oxygène” 해석 (0) | 2023.07.20 |
---|---|
심리학 으로 풀어보는 영화 속 의미: 더 리더: 책 읽어주는 남자(The Reader) (0) | 2023.07.18 |
영화 ‘소스 코드’ 해석: 시간 여행과 인간의 선택(Source Code) (0) | 2023.07.17 |
어둠 속에서 빛을 찾는 감동 실화: 영화 ‘노예 12년’ 리뷰(12 Years a Slave) (1) | 2023.07.16 |
사랑 아래 가려진 거짓말, 가스라이팅: 영화 '런' 리뷰(RUN) (0) | 2023.07.16 |